여러분은 불합리하다고 생각되는 상황에서 당당하게 자신의 생각을 주장해본 적이 있나요?
과학자 중에서 그 당시에 편견을 모두 깨버리고 당당하게 자신의 길을 간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과학자, 갈릴레이입니다. 그는 당시에 편견을 깨기 위해 끊임 없이 실험하고 검증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과학적인 시각을 제시한 사람입니다. 오늘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이야기를 읽어봅시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564년에 태어났어요. 갈릴레오의 고향에는 맏아들의 이름을 붙일 때 성을 변형해서 사용하는 풍습이 있어서, 그의 이름이 ‘갈릴레오’가 되었어요. 갈릴레이는 그야말로 편견에 대항하는 사람이었는데요, “나는 내가 직접 보고 경험한 것만을 믿는다.”라는 명언을 남겼다고 하네요. 도데체 그는 어떤 사람이었을까요?
여기서 잠깐!
우리 주변에서도 여러 가지 편견들이 있지요? 여러분이 생각하는 편견은 어떤 것인가요?
우리 주변에서 존재하는 불합리한 편견은 어떤 것이 있는지,
그 편견이 왜 불합리한지 왼쪽 링크에 접속하여 적어보세요. 우리 속 시원하게 이야기해봅시다~!!^^
그러면 갈릴레이 이야기를 계속 이어가겠습니다.
여러분 물질은 왜 움직일까요?
갈릴레이가 살아갈 당시의 사람들은 물질을 움직이는 원동력인 ‘임페투스’라는 것이 있다고 생각했어요. 처음 물체를 강하게 밀면 물체 안에 ‘임페투스’가 들어가서 물체가 움직이게 된다는 말이지요. 그 ‘임페투스’는 구멍난 풍선에 바람이 빠지듯이 물체가 움직이면서 그 세기가 차츰 줄어들다가 결국 0이되고 물체는 멈추게 된다라고 생각한 거지요.
그러나 갈릴레이는 반대로 생각했어요.
“물질이 왜 움직일까?” 라고 생각한 것이 아니라,
“물질이 왜 멈출까?”
라고 반대로 생각했답니다. 즉 갈릴레이는 “물체는 원래 움직인다”라고 생각한 것이지요. 우주에 천체들이 계속 움직이는 것처럼요.
갈릴레이는 물체는 원래 움직이게 되니까 A 위치에서 공을 놓았다고 상상해보았습니다. 공은 빗면을 따라 내려갔다가 최저점에서 자연스럽게 다시 올라오겠지요. 어디까지 올라올까요?
갈릴레이는 만약, 바닥이나 공기가 공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그림에서 A 위치에서 놓아버린 공은 B 위치에서 멈추게 될 것이다라고 생각했어요. 공을 맨 처음 놓았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움직인다는 말이 되겠지요. 그러고는 생각을 이어나갔습니다. 이번에는 경사를 좀 더 완만하게 해서 다시 실험한다면 공은 C 위치에서 멈추게 될 것이다, 그리고 경사를 더 완만하게 한다면 D 위치에서 멈출 것이다. 마지막에 경사를 아예 없애버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경사가 없어 원래 높이로 올라가지 못하는 공은 "일정한 속도"로 계속해서 직진하겠지요. 물른, 공기의 저항이나 바닥의 마찰이 없다면 말이에요.
E 의 공처럼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등속운동’이라고 한답니다. 그러면 이번 시간에는 등속운동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학습지로 같이 공부해요~^^
왼쪽의 동영상도 참조해보세요~
학습지의 내용에 따라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어렵지 않으니 잘 따라와보세요~
자동차 한 대가 자 위를 진행합니다.
1초 간격으로 사진을 찰칵! 찰칵! 찍은 것입니다.
속력 구하기
자동차가 1초에 몇 cm를 이동하나요?
네, 25cm를 이동하지요? (자동차 뒷 부분을 기준으로 자를 읽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시간(초)에 따른 자동차의 위치를 적어봅시다.(자동차 뒷부분을 기준으로 하면 되겠지요?)
1초 지나면, 25cm 2초 지나면, 50cm, 3초 지나면 75cm, 그 다음부터는 학습지에 직접 적어보세요~^^
학습지 다음 표로 넘어 가겠습니다. 이번에는 1초 간격의 시간 구간마다 자동차의 이동 거리를 구하고, 그 시간 구간에서의 속력을 계산해보라고 하네요!
1초 간격의 시간 구간마다 자동차의 이동 거리는 얼마인가요? 앞 차와 뒷차 사이의 거리를 계산해보면 되겠지요?(유의점은, 이번에도 자동차 뒷 부분을 기준으로 해야한다는 것!) 그렇다면 0초~1초의 시간 구간에서 이동 거리는? 25cm! 이겠지요. 그 다음 표의 빈칸은 스스로 매워보세요! 속력은 얼마인가요? (속력은 이동거리를 걸린 시간으로 나누면 된답니다!)
속력은 '25cm/초'
2. 시간-이동 거리 그래프
이제는 첫번째 표의 내용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볼게요! 각 시각 마다 자동차의 위치를 '순서쌍'으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려보면 된답니다.
0초에 자동차 뒷부분은 자의 몇 cm에 있지요? 0cm 이죠. 그렇다면 순서쌍은 (0, 0)이 되겠네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동차의 위치를 순서 쌍으로 나타내면 (1,25) (2,50) (3,75) (4,100) 입니다. 이제 순서쌍을 다 구했으니 그래프로 나타내어 볼게요!
여러분 이렇게 잘 나타내었나요??
이 그래프가 바로 '등속 운동의 시간-이동거리 그래프' 랍니다.
이 학습 내용은 암기하는 것이 아니고 등속운동의 개념과 그래프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그래프 모습이 '1차 함수' 모습이지요?
3. 시간-속력 그래프
이제는 두번째 표의 내용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볼게요! 각 시간 구간 마다 자동차의 속력을 '순서쌍'으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려보면 된답니다.
0초~1초 구간에서 자동차의 속력은 얼마인가요? 25cm/초이죠. 그런데 순서 쌍을 나타내려고 하니 곤란하네요... 순서쌍은 숫자로 나타내어야 하는데, '0초~1초'를 어떻게 표현하지요? 곤란하지만 우리가 포기할 수는 없지요. 0초~1초이니까 그 가운데 숫자인 0.5로 합시다. 그러면 순서쌍은 (0.5, 25)가 되겠네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동차의 속력을 순서 쌍으로 나타내면 (1.5,25) (2.5,25) (3.5,25) (4.5,25) 입니다. 이제 순서쌍을 다 구했으니 그래프로 나타내어 볼게요!
여러분 이렇게 잘 나타내었나요??
이 그래프가 바로 '등속 운동의 시간-속력 그래프' 랍니다.
이 학습 내용은 암기하는 것이 아니고 등속운동의 개념과 그래프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제 학습지 아래의 '정리하기'는 스스로 풀어보세요~!
수고하셨습니다! 오늘은 갈릴레이의 사고 실험에서 등장한 "등속 운동"이란 무엇인지, 등속 운동하는 물체의 시간에 따른 이동거리와 속력은 그래프로 어떻게 나타내어 지는지에 관해 학습했습니다. 중요한 내용이니 복습 잊지마시고~^^ 내일은 갈릴레이에 관한 또다른 이야기로 뵙겠습니다~!
내용구성 : 정재환( 대구중)